728x90

시나공정보처리기사 25

★ 015 제품 SW 패키징[SW 버전 관리 도구]

1. 공유 폴더 방식 - 버전 관리 자료가 로컬 COM의 공유 폴더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방식 - 개발자들은 개발이 완료된 파일을 약속된 공유 폴더에 매일 복사 - 담당자는 공유 폴더의 파일을 자신의 PC로 복사 후 컴파일 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 - 파일 오류가 확인되면, 해당 파일을 등록한 개발자에게 수정을 의뢰하고, 파일에 이상이 없다면, 각 개발자들이 동작 여부를 다시 확인 - 파일을 잘못 복사하거나 다른 위치로 복사하는 등의 문제를 대비하여 파일의 변경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관리 ex) SCCS< RCS, PVCS, QVCS 등 2.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 버전 관리 자료가 중앙 시스템(서버)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방식 - 모든 버전 관리는 서버에서 수행 - 서버의 자료를 개발자별로 자신의..

정보처리기사 2020.06.01

★ 014 제품 SW 패키징[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1. 저작권의 개요 - 저작권이란 저작물에 대하여 창작자가 가지는 배타적 독점적 권리로, 타인의 침해를 받지 않을 고유한 권한이다. - 컴퓨터 프로그램처럼 복제가 쉬운 저작물에 대해 불법 복제 및 배포를 막기 위한 기술적 방법을 통칭해 저작권 보호 기술이라고 함. 2.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의 개요 - 저작권자가 배포한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자가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콘텐츠의 생성, 유통, 이용까지 전 과정에 걸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호 기술 - 원본 콘텐츠가 아날로그인 경우, 디지털로 변환해 패키져(Packager)에 의해 DRM 패키징을 수행 -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작은 경우(음원, 문서 등)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하는 ..

정보처리기사 2020.06.01

★ 013 데이터 입출력 구현[데이터저장소/데이터베이스/DBMS]

1. 데이터 저장소 - SW 개발과정에서 다뤄야 할 데이터들을 논리적 구조로 조직화하거나, 물리적 공간에 구축하는 것을 의미 - 논리 데이터 저장소: 데이터 및 데이터 간의 연고나성, 제약조건을 식별하여 논리적 구조로 조직화한 것 - 물리 데이터 저장소: 논리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와 구조들을 SW가 운용 될 환경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HW적 저장 장치에 저장한 것을 뜻함 - 논리 데이터 저장소를 거쳐 물리 데이터 저장소를 구축하는 과정은 DB를 구축하는 과정과 동일 2. 데이터베이스 - 여러 사람에게 공동으로 사용될 데이터를 중복 배제하여, 통합하고, 쉽게 접근하여 처리 할 수 있도록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항상 사용 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데이터 - 즉, 특정 업무 수행에 필요한 상호 관련된 ..

정보처리기사 2020.06.01

★ 012 데이터 입출력 구현[자료구조]

1. 자료 구조의 정의 -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저장 공간의 효율성과 실행시간의 신속성 - 자료구조는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료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방법과 저장된 그룹내에 존재하는 자료간의 관계, 처리 방법 등을 연구 분석하는 것을 뜻함 - 자료구조는 자료의 표현과 그것과 관련된 연산 - 자료구조는 일련의 자료들을 조직하고 구조화하는 것 - 어떠한 자료구조에서도 필요한 모든 연산들을 처리 할 수 있음 - 자료구조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시간이 달라짐 2. 자료구조의 분류 1) 선형 구조 - 배열 - 선형 리스트: 연속 리스트, 연결 리스트 - 스택/큐/테크 2) 비선형 구조 - 트리/그래프 3. 선형구조 1) 배열(Array) -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들이..

정보처리기사 2020.06.01

★ 011 인터페이스 설계[미들웨어 솔루션 명세]

1. 미들웨어(Middleware)의 개념 및종류 - 미들(Middle)과 SW의 합성어로, 운영체제와 해당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서비스외에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SW. - MW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서 시스템간 데이터 교환에 일관성을 보장 2. DB(DataBase) - DB벤더에서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에서 원격의 DB와 연결하기 위한 미들웨어 - DB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보통 2-Tier 아키텍처라고 부름. ex) MS ODBC, 볼랜드 IDAPI, Oracle Glue 등 3. RPC(Remote Procedure Call) - 원격 프로시저 호출, 응용 프로그램의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마치 로컬처럼 호출하는 방식의 미들..

정보처리기사 2020.05.31

★ 010 애플리케이션 설계[모듈]

1. 모듈(Module)의 개요 - 모듈화를 통해 분리된 시스템의 각 기능들을 모듈이라고함. 모듈은 단독으로 컴파일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사용 가능. - 모듈화는 SW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시스템의 수정 및 재사용, 유지관리 등이 용이하도록 시스템의 기능들을 모듈 단위로 분해하는 것을 의미 - 모듈의 독립성은 결합도와 응집도에 의해 측정. 독립성을 높이려면 모듈의 결합도는 약하게, 응집도는 강하게 모듈의 크기는 작게 만든다. 2. 결합도(Coupling) - 모듈간에 상호 의존 또는 모듈 사이의 연관관계 - 다양한 결합으로 모듈을 구성 할 수 있으나, 결합도와 품질은 반비례 관계 - 결합도가 강하면 품질이 낮고, 시스템 구현 및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움 자료 결합도(Date Coupling) - 모듈간 인터..

정보처리기사 2020.05.31

★ 009 애플리케이션 설계[객체지향(Object-Oriented)]

1. 객체지향의 개요 - SW를 개발 할때 객체들을 조립해서 작성 할 수 있는 기법을 말함 - 객체지향 기법은 구조적 기법의 문제점으로 인한 SW 위기 해결책으로 사용 ※ 구조적 기법: 절차에 근간을 두고, 하나의 커다란 작업을 여러 작은 작업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소작업을 수행하는 모듈을 작성. 그 다음 하나로 통합해 최종 작업을 수행하는 하나의 완벽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 단, 구조적 기법은 유지보수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 공정에 집중하기 때문에 추가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어렵고,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음. - 객체지향은 SW의 재사용 및 확장이 용이하고, 고품질의 SW를 빠르게 개발 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쉽다. - 복잡한 구조를 단계적, 계층적으로 표현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병렬..

정보처리기사 2020.05.30

★ 008 애플리케이션 설계[아키텍처 패턴]

1. 아키텍처 패턴 개요 - 아키텍처를 설계할 때 참조 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 방식 또는 예제. -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윤곽을 제시 - 서브시스템과 그 역할이 정의되어 있으며, 서브시스템 사이의 관계와 여러 규칙/지침 등이 포함되어 있음 장점 - 개발 시간 단축, 고품질의 SW 생산 가능 - 검증된 구조로 개발되기 때문에 안정적 - 이해관계자들이 공통된 아키텍처를 공유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간편해짐 - 시스템 구조 파악이 쉬워지기 때문에 개발자가 유지보수하기에 용이함. - 시스템의 특성을 개발전에 예측 가능 2. 레이어 패턴(Layers pattern) - 시스템을 계층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 - 각각의 서브시스템들이 계층 구조를 이루며, 상위 계층은 하위 ..

정보처리기사 2020.05.30

★ 007 애플리케이션 설계[SW 아키텍처]

1. SW 아키텍처의 설계 - SW의 뼈대가 되는 기본 구조이며, SW를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시스템 구조 또는 구조체 - SW개발시 적용되는 원칙과 지침이며, 이해 관계자의 의사소통 도구로 활용 - 좋은 품질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구현하는 방법과, 비기능적 요구사항으로 나타낸 제약을 반영하는 과정 2. SW 아키텍처 설계의 기본 원리 1) 모듈화(Modularity) - SW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시스템 수정 및 재사용, 유지 관리 등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시스템의 기능을 모듈 단위로 나누는 것을 의미 -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공통 모듈로 구성하여 프로젝트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킴 - 모듈 크기가 너무 작으면 모듈 개수가 많아져 통합 비용이 많이 들고, 크게 나누면 모듈 ..

정보처리기사 2020.05.29

★ 006 화면 설계[UI프로토타입 제작 및 검토]

1. UI프로토 타입의 개요 - 프로토타입은 사용자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실제 동작하는 것처럼 만든 동적인 형태의 모형으로 테스트가 가능 - 개발자가 사용자 요구사항을 맞게 해석했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며, 핵심 기능만을 제공해야함. -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모두 반영될 때까지 프로토타입을 계속 개선 및 보완 -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테스트하는 것이 좋음. 2. UI프로토타입의 장단점 장점 - 사용자를 설득 및 이해시키기 쉬움 - 요구사항과 기능의 불일치 등으로 인한 혼선 예방 - 사전에 오류를 발견하고 개발 시간을 줄일 수 있음 단점 - 모든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반복 개선 및 보완으로 인한 작업량 증가와 필요 이상의 자원 소모가 발생 될 수 있음 - 부분적 프로토타이..

정보처리기사 2020.05.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