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로춘남 50

[회고] 이탈리아 가이드 출신 개발자의 2022년 1월 월간회고

2022년 그리고 1월이 지나간다. 시간이 정말 빠르다. 나는 지난 한달동안 잘지냈을까? 새해 계획은 야심차게 기획했지만, 과연 결과는? 벌써부터 반성의 마음이 올라오는게 좀 더 치열하게 살아봐야겠다고 느껴진다. 지난 한달동안 나는 개발자 입장에서 무엇을 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ech Blog 1월동안 내가 어떠한 글들을 포스팅 했는지 살펴보았다. 알고리즘 관련 2개 JPA 기본 객체 매핑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기 위한 new String에 대해서 계층형 쿼리란? Maven과 Gradle의 차이 StringTokenizer hasMoreTokens() nextToken() Java HashMap Java Lambda & Stream 총 8개의 글을 작성하였다. 알고리즘의 경우엔 문제를 주말을 제외..

생각정리 2022.01.31

[Java] Stream & Lambda 람다 스트림

스트림(Stream)과 람다(Lambda)는 Java 8부터 추가된 API다. 교육을 받던 시기 람다에 대해서 잠깐 언급만하고 넘어갔었고, 아직까지 업무하면서 제대로 사용해본적은 없지만, 공부에는 끝이 없는지라 예제를 통해 어떤 녀석들인지 알아보기로 한다. Lambda 먼저 람다부터 살펴보면 class Calculator { Calculator() {}; public int calc(int n) { return n + 1; }; } class Driv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 = 2; Calculator cal = new Calculator(); System.out.println(cal.calc(n));//3 } } Calculator 클..

JAVA 2022.01.28

[책 리뷰]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

웹 개발자이다보니 웹에 대해 모르는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는편이다.(당연한거지...) 그런데 막상 인터넷에 있는 자료를 보자니 보통 개인 기록목적으로 작성한것들이 많아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고, 올해부터 새롭게 도서로 공부를 하기로 마으 먹은지라...책을 통해서 한 번 읽어봤다.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은 시각화 자료인 그림으로 되어있다보니 나같은 사람도 접근하기가 수월했다. 한 번은 속독하면서 읽었고, 두 번째부터는 그림들을 천천히 보면서 내 머릿속으로 과정을 천천히 그려보면서 읽어나갔다. 막상 책을 읽으면서 '나는 이런것도 몰랐나?' 이런생각이 들었는데,, 단계적으로 하나씩 하나씩 내 것으로 만들어야겠다.

Book Review 2022.01.27

[책 리뷰]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나는 컴퓨터 전공자가 아니다. 전혀 관계없는 전공이지만 힘든 시기를 거쳐 현재 개발자로 근무를 하고 있다. 다른 전공자들처럼 4년간의 대학 내공이 없다보니 처음에 기본적인 업무용어부터 이해하는게 조금 힘들어서 책을 통해 조금씩 알아갔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공부를 통해서 조금씩 알게되었지만 읽은 책과 더불어서 실제 업무를 하다가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단어 하나하나 찾아봐서 공부했던 기억이 난다. 책에 대해서 간략하게 후기를 남겨보자면, 전공자는 굳이 필요할점이 없다는점. 나처럼 완전 다른 비전공자가 IT쪽으로 처음 입문할때 읽어보면 괜찮다는 느낌이 든다. 깊은 내용은 없고 그냥 IT가 뭔지 겉에 살짝 핥을 용도로 가볍게 읽을만한 좋은책이라 생각한다. 비전공자 입장에서는 IT란 이런거구나~ 뭐 이런 생각?!

Book Review 2022.01.26

Maven과 Gradle 차이

이클립스 기반으로 개발할때는 Maven이 일반적이었는데, 인텔리제이를 접하게 되면서 Gradle이라는 녀석을 알게 되었다. 도대체 이 두 녀석의 차이가 뭔지 알아볼 필요성을 느꼈다.. Maven 이란?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본인의 코드만으로 개발을 하는것이 아닌 수많은 Library들을 활용하여 업무를 진행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라이브러리들이 수십새가 넘어버린다면 관리를 하는것은 당연히 힘들다. Maven은 바로 이러한 경우에 도와주는 녀석이다. 사용할 라이브러리 뿐만 아니라 해당 라이브러리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다른 라이브러리까지 관리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Set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까지 있다.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LifeCycle을 관리해주며, 많은 편리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Maven..

[SQL] 계층형 쿼리(Hierarchical Query)란?

SQLD를 공부할때, 읽는것만으로 이해가 잘 안되서 계층형 쿼리에 대해 한 번 알아보고자 한다. 계층형 쿼리란 테이블에 계층형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이다. 먼저 계층형 데이터란? 동일 테이블에 계층적으로 상위와 하위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말한다. 예시로 하드웨어 계층적 구조를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입력장치의 상위 데이터는 하드웨어이며, 하드웨어의 하위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3개이다. ex) 테이블로 나타냈을때 예시 장치이름 상위장치 1 하드웨어 null 2 중앙처리장치 하드웨어 3 기억장치 하드웨어 4 입출력장치 하드웨어 5 입력장치 입출력장치 6 출력장치 입출력장치 계층의 쿼리의 형태를 살펴보자. START WITH 조건 CONNECT ..

Database 2022.01.22

[Java] 불필요한 객체 생성를 피하기 이펙티브 자바 new String

똑같은 기능의 객체를 매번 생성하는것보다는 객체 하나를 재사용하는편이 나을때가 많다. 두 코드는 과연 같을까? String str = "RomaMan";개선된 버젼 String str = new String("RomaMan");//하지 말아야할 행위! new String("RomaMan")의 경우는 실행 될때마다 String 인스턴스를 새로 만들게 된다. 생성자에 넘겨진 "RomaMan" 자체가 이 생성자로 만들어내려는 String과 기능적으로 똑같기 때문이다. 만약 이 문장이 반복문이라 빈번히 호출되는 메서드 안에 있다면 쓸데없는 String 인스턴스가 수백만개가 만들어 질 수 있다. 개선된 버젼은 새로운 인스턴스를 매번 만드는 대신 하나의 String 인스턴스를 사용하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방법을 ..

JAVA 2022.01.21

[회고] 이탈리아 가이드 출신 개발자의 2021년 회고

보통 개발자라고하면, 커뮤니케이션이 다소 미흡하다는 인식이 있었다. 아무래도 장교생활부터해서 이탈리아 가이드까지 여러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이 필수적인 직업을 경험했다보니, 같이 스터디를 하거나 IT관련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글들을 보거나 같이 업무를 하면서도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다소 부족한부분들이 많다라는것을 느낄 수 있었다.(그렇다고 내가 말을 엄청 잘하는건 아니다) 하지만 이 세상에 개발자는 많고도 많은법.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분명 많다는것을 느꼈다. 요새는 유튜브가 워낙 잘되어있다보니 내가 원하는정보를 찾을 수 있을뿐더러 알고리즘의 추천으로 내가 원하는 영상(?)까지 우연치않게 보는 기회가 많다. 그러다가 문득 나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영상이 있었다. ☞ 이동욱님 영상 배달의 민족에 있다가 인프런으로 ..

생각정리 2021.12.22
728x90